최근 <테슬라 모델X>와 <비야디 아토3>를 시승하면서 전기차에 급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오늘은 전기차에서 가장 핵심 부품인 배터리에 대해서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한다
전기차 배터리는 차량의 성능과 주행거리, 가격 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자 운전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부품으로 현재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제조사들은 시장에서 선두를 점하기 위해 서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전기차의 배터리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2025년 현재 제조사 순위는 어떻게 되는지 한번 자세히 정리해 본다
전기차 배터리 종류
1. 리튬이온 배터리(Lithium-ion Battery)
ㅇ 특징
-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배터리
- 높은 에너지 밀도, 경량, 긴 수명
ㅇ 주요 유형
- NCM(니켈-코발트-망간)
. 높은 에너지 밀도로 장거리 주행에 적합
. 니켈 함량이 높아질수록 에너지 밀도가 증가하지만 열 안정성이 낮아짐
- LFP(리튬인산철)
. 안전성과 수명이 뛰어남
.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과 환경 부담이 적음
. NMC보다 주행거리는 짧음
. 가격 경쟁력이 높아 중국 시장에서 급성장 중
. 테슬라와 BYD 일부 모델에 적용 중
-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 높은 에너지 밀도와 출력으로 열 관리와 비용이 단점
. 파나소닉 공급으로 테슬라 차량에 주로 사용됨
ㅇ 장점 : 빠른 충전, 높은 효율
ㅇ 단점 : 원자재(리튬, 코발트) 의존도가 높고, 재활용이 미흡함
2. 나트륨이온 배터리(Sodium-ion Battery)
ㅇ 특징
- 2024년부터 중국 제조사들이 상용화에 나섬
- 나트륨은 바닷물에서 추출 가능해 리튬보다 풍부하고 저렴함
- 소형 전기차에 적합
- 에너지 밀도는 리튬이온보다 낮지만 비용 효율성이 뛰어남
ㅇ 현황
- 중국의 CATL과 BYD가 개발 주도 중
- 2024년 첫 상용 모델 출시
ㅇ 장점 : 원자재 비용 절감, 환경 친화적
ㅇ 단점 : 에너지 밀도가 낮아 장거리용 전기차에는 부적합
3. 고체 배터리(Solid-State Battery)
ㅇ 특징
-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 사용으로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높임
- 차세대 기술이며 충전 속도도 빠름
- 테슬라, 삼성SDI, 도요타 등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에서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
ㅇ 장점 : 화재위험 적음, 주행거리 증가(최대 1,000km)
ㅇ 단점 : 제조 비용 비쌈, 대량 생산기술 아직 미완성
4. 리튬황 배터리(Lithium-Sulfur Battery)
ㅇ 특징
- 리튬이온보다 훨씬 높은 에너지 밀도 제공
- 황은 저렴하고 풍부함
- 아직 연구 단계로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함
ㅇ 장점 : 경량화와 비용 절감 가능성
ㅇ 단점 : 충,방전 시 황의 구조적 변화로 수명이 짧음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순위 (2025. 3월 기준)
순위는 배터리 출하량과 시장 점유율을 기준으로 SNE Research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약간의 변동사항은 있을 수 있다
1위 / CATL (중국)

ㅇ 시장 점유율 : 약 37. 4% (2024년 상반기 기준)
ㅇ 특징
-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
- NCM 및 LFP 배터리 모두 생산
- 나트륨이온 배터리 개발에도 앞장섬
- 주요 공급처 : 테슬라, BMW, 폭스바겐, 도요타 등
ㅇ 강점 : 중국 내 수직 통합 공급망과 저렴한 생산 비용
2위 / BYD (중국)

ㅇ 시장 점유율 : 약 15.8%
ㅇ 특징
- 자사 전기차에 LFP 배터리 공급
- Blade Battery로 안전성과 비용 효율성을 강조
- 전기차 제조와 배터리 사업의 시너지 효과로 급성장
ㅇ 강점 : 전기차 시장 1위 브랜드로서 배터리 수요 자체 창출
3위 / LG 에너지솔루션 (한국)

ㅇ 시장 점유율 : 약 13.6%
ㅇ 특징
- NCM 및 NCMA 배터리 전문
- GM, 현대, 폭스바겐 등에 공급 중
- 유럽 및 미국에 대규모 공정 건설 중
- 2001년 볼트EV 화재로 리콜 비용 부담을 겪었으나 회복 중
ㅇ 강점 :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 기술력과 글로벌 확장성
4위 / 파나소닉(일본)

ㅇ 시장 점유율 : 약 10%
ㅇ 특징
- 테슬라의 주요 공급사로 NCA 배터리에 강점
- 도요타와의 합작으로 생산 확대 중
- 시장 점유율은 감소 추세
ㅇ 강점 : 오랜 배터리 제조 경험과 안정적인 품질
5위 / SK 온 (한국)

ㅇ 시장 점유율 : 약 5~6%
ㅇ 특징
- NCM 및 NCMA 배터리 제조 중심
- 현대기아 및 포드에 공급
- 미국 공장 가동으로 성장 가속화
ㅇ 강점 : 고속 충전 기술과 해외 생산 능력
6위 / 삼성 SDI (한국)

ㅇ 시장 점유율 : 약 5%
ㅇ 특징 : 프리즘형 배터리로 BMW, 아우디 등 유럽 브랜드에 공급
ㅇ 강점 : 전자 제품 배터리 기술을 전기차로 확장
7위 / CALB (중국)

ㅇ 시장 점유율 : 약 3~4%
ㅇ 특징
- LFP와 NCM 배터리 생산
- 중국 내 중소형 전기차 시장 공략
ㅇ 강점 : 항공 산업 배경으로 신뢰성 확보
시장 동향과 전망
1. 중국 주도
ㅇ 상위 7개 제조사 중 1위 업체를 포함해 3개가 중국 기업
ㅇ 2023년 기준 중국은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56%를 점유
ㅇ LFP 배터리 채택 증가로 주도권 강화
2. 기술 경쟁
ㅇ 고체 배터리와 나트륨이온 배터리 상용화가 2025~2030년 사이 본격화될 가능성 높음
3. 서구의 반격
ㅇ 미국과 유럽은 자국 생산 확대 추진 중이나 아직은 아시아의 기술력과 비용 경쟁력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음
4. 환경 이슈
ㅇ 배터리 재활용률(2019년 5% 수준)이 낮아 지속 가능성이 과제로 떠오름
결론
ㅇ 전기차 배터리는 현재 리튬이온(NCM, LFP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ㅇ 리튬이온을 대체할 유력 후보로 나트륨이온과 고체 배터리가 미래를 준비하고 있음
ㅇ 배터리 제조사는 현재 CATL과 BYD의 중국이 강세를 이끌고 있으며, 한국의 LG와 SK가 기술력을 앞세워 경쟁 중임
'모빌리티 >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터스] 고성능 하이퍼 전기 SUV 엘레트라 정보 총정리(가격, 제원, 출력, 디자인 등) (14) | 2025.04.17 |
---|---|
2024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 순위 TOP 10 브랜드 (9) | 2025.03.26 |
2024년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별 판매량 Top 10 (17) | 2025.03.14 |
[BMW m340i] G20 M340i 주행리뷰 및 엔진오일 교환 / 대전 씨랩(C.Lab) (4) | 2025.03.08 |
[테슬라 모델X] 테슬라 대구 전시장 방문 / 테슬라 모델X 시승 후기 (11) | 2025.03.05 |